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직장생활
- 애플워치
- 직장인
- 조이
- Zootopia
- 영어회화
- 애플신제품
- 아이스에이지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글쓰기
- 씀
- 지구대충돌
- 이근철의 굿모닝 팝스
- 이미테이션 게임
- 독수리 에디
- 이근철
- 서평
- The imiation game
- 구스범스
- 이근철의 굿모닝팝스
- 리더십
- 굿모닝팝스
- 인공지능
- 주토피아
- 아이폰
- 르디플로
- 아이패드
- 아이폰7
- Goosebumps
- 애플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089)
21세기를 사는 20세기 소년
[김용민 브리핑에서 ‘경제의 속살’이라는 코너를 맡고 있는 민중의 소리 이완배 기자. 이완배 기자를 만나 뵌 적은 없지만 전해주는 정보 혹은 소식들을 듣다 보면 호감을 가지게 된다. 지난 주에도 인상 깊은 내용을 소개해 주셔서 잊지 않고자 이완배 기자의 부분을 정리해 놓는다.] 2월 6일 네이버 웹툰에 최규석 작가의 '송곳' 시즌 5가 돌아왔다. 첫 화 내용이 노동자의 분신으로 시작된다. 분신한 노동자가 장례절차를 노조에 맡긴다고 유서에 남겼는데, 경찰이 시신을 탈취하고자 한다. 노동자의 아버지가 회사의 회유로 시신을 경찰에 넘겨주고자 했던 것이다. 이 장면을 보고 떠오른 건 염호석 열사의 사건이다. 삼성전자 서비스지회. 민주노총 금속노조 산하노조이다. 삼성에 민조노총 소속 노조가 있어? 라는 사람들의 ..
[많은 사람들이 독서의 유익을 말합니다. 그래서 책을 읽고 싶어합니다. 실제로 책을 읽어보려고도 합니다. 하지만 꾸준히 책을 읽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죠. 손에 든 스마트폰으로 언제든 정보를 검색해 볼 수 있는 요즘엔 더욱 책에 손이 가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도 책을 많이 읽고 싶다는 생각은 마음 한 구석을 항상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기 책을 조금 더 많이 읽을 수 있는 몇 가지 팁이 있습니다. 물론 이 팁들 역시 본인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독서를 하는 최선의 방법은 지금 당장 책장을 열고 읽기를 시작하는 것이겠지요.] 책을 얼마나 읽나요? 성인이 된 이래 저는 1년에 다섯 권 정도를 읽었습니다. 운이 좋았을 경우에 그랬습니다. 휴가 때 두 권 정도를 읽었고, 나머지는 여러 달 동..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공통의 목표로 모인 소수의 사람들의 사회운동은 역사에서 큰 변화를 일으켜왔다. 미국에서의 여성 투표권, 시민권, 인도 독립, 동유럽의 컬러 혁명, 아랍의 봄 등은 모두 권력에 대항한 힘없는 사람들의 모임에 의해 일어났다. 이들 운동에서 시위는 보통 시민들의 능력을 강조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런 류의 행동주의는 변화를 위한 준비 작업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최근 폴란드에서 있었던 대중의 동의를 받지 못한 낙태법에 대한 시위를 보자. 이들은 여성의 파업을 포함한 추가적인 행동을 취하도록 수백만의 사람들을 자극해 입법자들을 뒤로 물러서게 했다. 2017년 1월 21일에 있었던 시위들은 첫 단계에 불과하다. 운동의 약화와 성공에는 명확한 이유가 있다. 활동가들은 역사의 교훈을..
"창조성은 행동할 때 나타난다." "창조성은 간단한 아이디어에서 시작된다." "창조성은 현재에 있다." - 작품에 몰입할 때 발휘된다 상상한 것을 실제로 종이에 그렸을 때 그 차이가 너무 커서 실망하곤 한다.이땐, 엄청나게 많이 그려라. "창조성은 꾸준한 연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판단과 비판이 줄어들수록 창조성은 커진다."하지만 상상력에는 어느 정도의 구체성이 필요하다. "창조성은 제약이 필요하다." "창작은 결과이지 과정이 아니다. 현재는 행동을 해야 할 시간이다." "창조성은 실험하고 조종하고 탐구할 때 나온다." "창조성은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으로부터 벗어났을 때 비로소 나온다." 그림 멘토 - 버트 도드슨 -
굿모닝팝스 2016년 12/16(금) X-men: Apocalypse 엑스맨: 아포칼립스 단지 전쟁이 일어나고 있지 않다고 해서 평화롭다는 건 아니야Just because there’s not a war doesn’t mean there’s peace. 아이들에게 뭔가를 가르치길 원한다면 그걸 가르치라고You want to teach your kids something? Teach them that. 싸우는 걸 가르치라고Teach them to fight. 그렇지 않으면 그 애들은 남은 인생동안 그냥 이 집에서 지내는 편이 낫다고Otherwise they might as well live in this hous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아직도 에릭이랑 똑같이 말을 하는구나Yo..
굿모닝팝스 2016년 12/15(목) X-mens: Apocalypse 엑스맨: 아포칼립스 찰스 그녀가 왜 날 알아보지 못했죠?Charles, why didn’t she recognize me? 그녀가 나의 이런 모습을 이미 알고 있을텐데She knew me in this form. 쿠바 해변에서 네가 날 떠났을 때 그 시간들에 대한 그녀의 기억을 지워버렸어Well, after you left me on the beach in Cuba I took her memories of that time. 좀 앉아Have a seat. 운이 좋은 여자구만Lucky girl. Why didn’t she recognize me?= Why didn’t she know who I am?= Why was I stranger..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려면 우리는 대개 그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장려책)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전문서비스 회사에서의 협업에 대한 연구와 조언을 만들면서 이런 질문을 많이 받았다. "법률이나 컨설팅 회사처럼 동업자 관계에서는 효과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직원들이 소유자가 아니고 규칙들을 바꿀 수 없는 회사들에서는요?" 상업부동산, 제약회사, 생명과학 기업, 헤지펀드, 공립학교 등은 경쟁과 스타가 주도하는 문화를 협력적인 것으로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 고민한다. 특히 재정적 보상을 할 수 없거나 승진 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없는 경우에 그러하다. 이를 위해 보상 체계가 제한된 곳에서의 새로운 연구를 수행했다. 리더가 보상이나 승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부문간의 협력을 장려할 수 있..
성장하고자 하는 마음가짐 스마트 기기 등 기술에 대한 상식을 쌓아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가짐이다.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재능 혹은 소질이 있어야만 할 수 있다고 믿는 태도로는 목표를 쉽게 포기하게 할 수 있다. 마음 가짐은 생각을 좌우하고 생각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마음가짐에 따라 우리의 행동과 그로 인한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스탠포드 대학 심리학자 Carol Dweck은 성장하고자 하는 마음가짐과 정체되어 있는 마음가짐을 비교했다. 두 가지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들이 욕망, 상황에 대한 평가, 문제를 다룸, 도전, 노력, 비판, 다른이들의 성공, 결과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는지 설명했다.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는 당..
[요즘은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살아기가 어려운 시대다. 9To5Mac에서 ‘Become Tech Savvy’라는 제목으로 업데이트되는 글들이 기술 상식을 알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이제는 나이가 들어도 스마트기기를 다뤄야 하게 되었다. 과거엔 기술적인 기기들이라봐야 라디오, 텔레비전, 전화기 정도였고 시간이 조금 더 흐른 후에도 가정용 혹은 휴대용 게임기 정도에 컴퓨터만 조금 다룰 줄 알면 되었다. 하지만 이젠 그렇지가 않다. 일단 스마트폰은 기본으로 다룰 줄 알아야 하고 스마트폰 이후에도 웨어러블 기기, 가상현실 기기 등 끊임 없이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뭐 그냥 스마트폰을 대강 다룰 수 있는 정도에서 멈춰도 상관은 없겠으나 조금 더 알아놓는다고 해서 해가될 것은 없을 ..
애플 캠퍼스 2가 완성을 눈앞에 둔 것 같다. 얼마 있지 않아 애플 직원들은 상상 속에서나 존재할 것만 같은 직장을 가지게 될 것이다. 부럽다. 이 정도 건물을 짓는데 비용이 어느 정도나 들었을까? 대략 6조원 정도가 들었다고 하는데 미국은 땅덩어리가 넓어서 이렇게도 할 수 있는 건가? 우리 나라에도 서울을 조금만 벗어나면 저 정도 부지는 마련할 수 있을 텐데. 우리네 기업들은 위치 좋은 부동산에만 목을 매는 것 같아서 아쉽다. 실제로 얼마나 멋진 일터가 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겉으로 보기에는 한없이 부럽기만 하다. 참고: Ben Lovejoy, Finishing touches and trees being added to Apple’s Campus 2 as heavier work largely com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