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를 사는 20세기 소년

질식할 것만 같은 일터에 재미, 품위, 자유를! 본문

맛있는 책읽기

질식할 것만 같은 일터에 재미, 품위, 자유를!

초원위의양 2019. 9. 26. 23:02

더 나은 일터와 노동을 꿈꾸다. E.F.슈마허의 <#굿워크>

오늘도 이른 아침에 출근을 합니다. 표정은 생기가 없고 어둡습니다. 발걸음은 무겁습니다. 비교적 좋은 조건에서 일을 하고 급여도 상당한데 일터로 향하는 발걸음은 왜 항상 무거운지 모르겠습니다.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결코 작지 않은 ‘일’. 만족하며 즐겁게 할 수는 없을까요?

일터가 재미없다고 하면 직장 동료도, 부모님도, 친구들도 욕심부리지 말고 월급 따박따박 나오는 직장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라고들 합니다. 물론 감사합니다. 하지만 돈을 받으며 하는 일이라도 즐겁게 하고 싶다는 것은 정말 과한 욕심일까요. 직장이 고통과 돈을 바꾸는 곳이 아니면 좋겠습니다.

“누구나 만족스러우며 창조적인 노동을 하고, 품위 있는 생활을 유지하며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는”세상. 천국에서나 가능할 법한 모습입니다만 이 세상에 살면서도 끊임없이 이런 모습의 사회를 추구했던 사람이 있었습니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는 말로 유명한 E.F. 슈마허입니다.

책 표지ⓒ 느린걸음

흥미와 품위, 재미가 사라진 일터

1970년대 중반 슈마허가 미국에서 강연했던 내용을 묶은 책 <굿워크>는 40여 년이 지난 지금에도 노동하는 삶에 대해 생각할 거리를 던져줍니다. 슈마허는 불가피하게 할 수 밖에 없는 일이든, 원해서 하는 일이든 노동을 삶의 중심에 놓고 바라봤습니다. 그렇기에 노동에서 재미와 의미가 사라져가는 모습을 안타까워했습니다.

아마도 요즘 사람들이 일하는 곳에 슈마허가 방문한다면 우리들의 모습을 보며 역시나 안타까워할 것 같습니다. 슈마허가 우려했던 것처럼 현대 산업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정신과 시간을 과도하게 빼앗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터에서 만족스러운 노동이라는 가치는 사라진 지 오래되었고 노동생산성 향상만이 추구해야 하는 덕목으로 남았습니다.

슈마허는 노동자들이 흥미나 품위를 잃은 이유를 산업사회의 독재적 운영방식에서 찾았습니다. 현대기업들은 인간을 책임 있는 개인이 아니라 ‘생산의 요소’로서만 취급합니다. 요즘 회사들은 여기에서 한 술 더떠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가지고 일하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자원으로 취급당하는데 주인이 될 수는 없습니다.

책에서 슈마허가 언급한 산업사회의 복잡함, 탐욕, 규모 확대로 인한 권위주의는 과거보다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때문에 일을 하면서 품위를 유지하고 만족할 수 있는 환경은 유토피아에서나 가능한 실현될 수 없는 꿈이 되어버린 듯 합니다. 산업사회의 거대 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노동의 의미를 다시 생각한다

현대 산업 사회가 노동을 황폐하게 만들지 않았다면 노동은 어떤 모습이 되었을까요. 직장에서 마주하는 답답한 현실에 비판과 푸념을 반복하기는 하지만 내가 바라는 노동과 그 의미에 대해선 더이상 고민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슈마허가 책에 쓴 것처럼 저 역시 공리주의적 노동관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인간에 대한 관심도 없고 의미도 없으며 목적조차 없이 생존을 위한 ‘선택’과정인 진화의 산물이 인간이라고 한다면, 다시 말해 인간이 ‘공리주의’의 결과물에 지나지 않는다고 가르친다면, 노동은 불쾌하지만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것 외에 아무것도 아니게 됩니다. 따라서 노동은 적게 할수록 더 좋다는 식의 공리주의적 생각을 갖게 됩니다.”(199쪽)

슈마허는 노동이 세 가지 역할을 한다고 봤습니다. 1) 자신의 잠재력을 사용하고 계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2)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함으로써 자기 중심주의 극복, 3) 품위 있는 생존을 위해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이와 같이 노동이 제 역할을 하는 사회라면 일터로 가는 사람들 표정이 밝을 것 같습니다.

노동의 역할이 회복된 더 나은 사회를 위해 법, 규칙, 협약, 세금, 복지, 교육, 건강 서비스와 같은 ‘상부구조’를 바꾸는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슈마허는 ‘우리가 좋은 사람이 될 필요가 없는 완벽한 시스템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말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개인의 역할도 강조합니다.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니까요.

더 나은 노동과 일터를 상상하자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자본주의와 이윤추구 동기를 없애자’, ‘다국적 기업을 해체하고 관료주의를 폐지하자’, ‘교육을 개혁하자’와 같은 주장을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슈마허는 “약자들이 자기 힘으로 생산함으로써 지금보다 더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줄 새로운 형태의 기술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슈마허는 자본, 기술, 조직 등이 점점 더 거대해지는 방향을 거슬러 보다 작은 규모로 인간뿐만 아니라 환경까지 고려하는 기술을 추구했습니다. 이 제안도 의미가 있어 보이지만 구조 안에서 살아가는 개인으로서 더 관심이 가는 내용은 슈마허가 말한 ‘자유’와 ‘자발성’입니다.

“나는 아무 의미도 없는 치열한 경쟁에 뛰어들고 싶지 않다. 나는 기계와 관료제의 노예가 되어 권태롭고 추악하게 살고 싶지 않다. 나는 바보나 로봇, 통근자로 살고 싶지 않다. 나는 누군가의 일부분으로 살고 싶지 않다.90쪽)

“나는 내 일을 하고 싶다. 나는 좀 더 소박하게 살고 싶다. 나는 가면이 아니라 진짜 인간을 상대하고 싶다. 내겐 사람, 자연, 아름답고 전일적인 세상이 중요하다. 나는 구군가를 돌볼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91쪽)

이런 꿈을 꾸며 일하고 싶습니다. 비록 현실의 직장에선 자발성을 발휘할 공간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지만 그렇다고 스스로 자유를 포기해 버린다면 그 또한 비극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자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어야 결국엔 조직도 활기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슈마허의 이 말은 생계를 위해 일하는 모든 노동자들이 꼭 생각하며 일하면 좋겠습니다.

“그래, 비록 생계를 위해 일을 하지만 나한테는 다른 일을 할 시간도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결국 최고의 일을 하게 됩니다.”(1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