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글쓰기
- 직장생활
- The imiation game
- 애플신제품
- 조이
- 이근철의 굿모닝팝스
- 이근철
- 지구대충돌
- 영어회화
- 아이패드
- 직장인
- Zootopia
- 구스범스
- 인공지능
- Goosebumps
- 애플
- 애플워치
- 아이스에이지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굿모닝팝스
- 이미테이션 게임
- 독수리 에디
- 리더십
- 서평
- 르디플로
- 씀
- 주토피아
- 이근철의 굿모닝 팝스
- 아이폰7
- 아이폰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산업자본 (1)
21세기를 사는 20세기 소년
21세기 자본론(Thomas Piketty)읽기 - 3장 4장
21세기 자본론(Thomas Piketty) 읽기 - 3장, 4장 출처 http://www.economist.com, R.A., Reading "Capital": Chapters 3 and 4, 2014. 03. 27. 3장과 4장에서 Piketty는 시간과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경제권역에 따른 자본의 변화를 설명한다. 19세기 초 부는 대개 농토를 보유하는 것에 기인했다. 시간에 따라 이러한 농토의 중요성이 감소하고 반면 주택 및 부동산/산업자본과 같은 것이 지배적이 되어 갔다. 국민 소득에서 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은 산업화 시대에 높았다가 1914년부터 1950년까지 유럽에서는 크게 감소했고 지난 60년 동안 다시 상승하기 시작해서 현재는 전쟁 이전 수준에까지 접근하고 있다. 더욱이 자본은 유럽에서만큼 ..
맛있는 책읽기
2016. 3. 20. 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