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직장인
- Zootopia
- 주토피아
- 서평
- The imiation game
- 애플
- 씀
- 인공지능
- 애플신제품
- 독수리 에디
- 이근철의 굿모닝 팝스
- 구스범스
- Goosebumps
- 지구대충돌
- 르디플로
- 아이스에이지
- 글쓰기
- 이미테이션 게임
- 영어회화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굿모닝팝스
- 리더십
- 아이패드
- 조이
- 직장생활
- 아이폰7
- 아이폰
- 이근철
- 이근철의 굿모닝팝스
- 애플워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링겔만 효과 (1)
21세기를 사는 20세기 소년
팀에서 더 적음이 더 많음인 이유
by Mark de Rond 미식 축구 선수가 미국에선 11명, 캐나다에선 12명, 아일랜드에선 15명인 이유는? 축구 선수가 11명인 이유는? 야구 9명, 농구 5명, 배구 6명, 수구 7명, 크리켓 11명인 이유는? 이와 같은 단순한 질문에 대답하기는 무척이나 어렵다. 역사적 이유가 무엇이든간에 팀 구성원의 수는 성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팀의 크기와 생산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는 가장 먼저 알려진 시도는 약 백년 전 프랑스 엔지니어 Maximilien Ringelmann의 유명한 실험이다. 일련의 단순한 줄다리기 실험에서 그는 팀 크기가 커짐에 따라 개인의 노력이 빠르게 감소함을 발견했다. 이것이 지금은 링겔만 효과라 알려져 있다. 그는 여덟 명의 사람들이 네 명의 개인이 당기는 것 만큼..
경제 경영 혁신 직장 조직
2016. 3. 14. 22:32